안녕하세요 / 전경련 국제경영원 사무국입니다.
오늘은 부동산, 금융, 자산관리에 대한 이야기를 하고자 합니다.
"부자가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부자들만의 성공 비법이 있지는 않을까?"
사람이라면 누구나 한번쯤 '부자'가 되고 싶다는 꿈을 꾸고는 합니다.
그렇다면 진짜 부자가 되려면 뭐부터 어떻게 해야 할까요?
시드머니가 적어도, 투자 전문가가 아니어도, 나름의 접근법을 가지고 투자에 성공한 사례는 얼마든지 있습니다.
본 교육과정은 본인에게 더 맞는 투자 전략법을 배워
실전에 적용하실 수 있도록 정보와 기회를 제공해드리고자 개설되었습니다.

제4기 전경련 부동산/금융/자산관리 최고위과정
성투로 가는 지름길! 지금 신청하셔야 합니다.

2021.10.14(목)~2022.1.20(목) 매주 목요일 16:00~19:00
① 어려운 경영환경, 있는 재산, 있는 자산이라도 잘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② 기업의 자산과 개인의 자산을 지킬 수 있는 최고위과정
③ 자산관리를 맡기고 계셔도, 알고 맡기셔야 금융사에 선제적으로 요청할 수 있습니다.
④ 다른 기관의 <부동산/금융/자산관리> 강의에 실망하셨나요, 전경련이 하면 다릅니다.
자산가들의 포트폴리오, 부동산, 주식, 장외주식, 채권, 달러, 각종 펀드, 미술품, 대체상품, 해외 투자, 경매/공매 등
자산관리에 대해 조금이라도 궁금하신 점이 있으셨다면,
지금 <제4기 전경련 부동산/금융/자산관리 최고위과정>에서 다 알려드리겠습니다!
본 교육과정은 매주 목요일 강연이 이어지며, 저녁식사 시간이 마련되어 있습니다.
같은 고민을 가지고 계신 원우 분들과 경영정보를 교류하고 네트워킹 하실 수 있는 기회까지 얻으실 수 있습니다.
(친선골프 2회, 종강: 도슨트 투어&미술품 강연&저녁만찬)
교육 대상
이런 분들은 꼭 교육 신청하셔야 합니다.

★기업에서 3명 중 1명은 오셔야 합니다 (같이 오셔도 좋습니다)
오너경영자: 선제적으로 금융사에 요청할 수 있는 수준이 되어야 합니다.
2세경영자: 아버지의 재산, 법인의 자산을 지키려면 전경련에서 준비해야 합니다.
재무담당자(CFO): 법인의 재산을 다방면에서 수익낼 수 있도록 공부해야 합니다.
개발/시행/임대/분양/중개 등 부동산 관계 기업인
은행/저축은행 등 금융관계 기업인
금융사에 자산관리 맡기고 계시겠지만, 알고 맡기는 것과 모르고 맡기는 것은 다릅니다.
주식, 부동산, 채권, 달러, 원자재, 투자시점 궁금하지 않으세요?
1기부터 3기까지 수료생들의 생생한 후기
직접 해당과정을 수료한 분들의 후기를 확인해보세요!
기수에 참여하시는 분들이 부동산, 주식, 절세 관련 전문가들이 많으시더라구요.
강연 뿐만 아니라 원우 분들과의 네트워킹으로 좋은 정보 많이 얻었습니다.
그리고 연사 분들 섭외 정말 잘하셨더라구요~ 전경련 강연 좋아서 다른 과정도 등록하려고 합니다.
- 부동산업 S사 대표이사 -
부동산 경매는 잘 몰랐는데, 이번 수업을 통해서 새로운 경매 방법으로 토지 투자했습니다.
무엇보다 주식에 관심 많은데, 주식 강연으로 수익 100% 넘게 봐서 교육비 모두 상쇄한 기분입니다.
다음 기수 한번 더 수강할까 고려 중입니다.
- 서비스업 B사 임원 -
출장도 잦고, 불가피한 사정으로 수업에 참석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는데,
현장 수업 뿐만 아니라 온라인 스트리밍까지 제공해줘서, 편하게 수강할 수 있었습니다.
무엇보다 사무국 분들이 친절하게 안내해주셔서 좋았습니다.
- 제조기업 I사 대표이사 -
전경련 교육은 강연 뿐만 아니라 네트워킹에도 많이 신경 써주시더라구요.
2세 경영자 분들도 많이 있어서 좋았습니다.
다양한 업계의 대표님들과 2세 분들을 알게 되어서 저한테는 도움이 많이 되었습니다.
맨 처음에는 강연만 들으려고 했는데, 지금은 다른 원우 분들과 친해져서 골프도 치고, 따로 저녁 모임도 가지고 있습니다.
- 유통기업 O사 2세 경영자 -
계속 바뀌는 부동산 정책으로 고민이 많았는데,
양도/증여/상속세 관련 국내 최고 전문가이신 안수남 대표님 강연 듣고 많은 정보 얻었습니다.
명함 교환하면서 실제로 찾아뵙고 도움도 받았습니다.
자녀 아파트도 고민이 많았는데, 이번에 강연 듣고 잘 투자할 수 있었습니다.
다음 기수에는 아들을 직접 보내려구요.
- 제조기업 P사 대표이사 -
아파트가 될 땅에 투자
진짜 부자는 땅(토지)를 산다!

부자들이 땅에 투자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로 '부동성' 때문입니다. 부동성은 위치가 고정되어 있다는 뜻으로 인간의 힘으로는 이동시킬 수 없다는 말입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비슷비슷해 보일 수 있지만 토지는 개발 호재에 따라 그 가치가 천차만별로 달라집니다.
따라서 사전에 가치있는 땅을 사 놓으면 엄청난 시세차익을 볼 수 있습니다.
토지의 면적을 증가시킬 수 없는 부증성으로 인한 희소성도 토지 재테크를 하는 이유 중 하나입니다.
또 땅은 부동산과 달리 영속성을 지니고 복합 이익을 창출할 수 있습니다.
땅 위에는 아파트, 상가 등의 건물을 지을 수 있기 때문에 땅값 및 임대료 등의 이익을 생각해 볼 수 있습니다.
토지에 대해서 잘 모르셔도 걱정하지 마세요!
<제4기 전경련 부동산/금융/자산관리 최고위과정>에는 "토지의 적정 가격 찾기 기초 강의"가 준비되어 있습니다.
토지에 대한 규제 상식 + 현재, 미래가치 분석
토지를 투자하기 위한 방법으로 중요한 것과 실천할 수 있는 것
A to Z까지 모두 담았습니다.
토지를 투자하고자 하시는 분들,
이제부터라도 공부하고자 하시는 분들이라면
<제3기 전경련 부동산/금융/자산관리 최고위과정>을 꼭 신청하셔야 합니다!
투기와 투자의 차이점
슈퍼개미가 될 수 있었던 성투 노하우

투기와 투자는 모두 돈을 버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투자는 향후 붙을 이자나 배당 소득 또는 가격 상승을 바라보고 하는 반면,
투기는 큰 수익을 기대하며 시세 차익에만 목적을 두는 것입니다.
주식과 채권, 펀드 등은 투자 대상으로 불리며
상품, 외화, 암호화폐 등은 투기 대상으로 간주됩니다.
부동산은 그 목적이나 방식에 따라 투기나 투자로 간주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해당 부동산을 이용할 의사가 있고 장기간 보유하는 경우 투자로 봅니다.
토지, 부동산, 주식, 펀드 등 어떤 종목에 투자를 하든 관건은 리스크 관리라고 할 수 있습니다.
투자의 왕도에는 정답이 없습니다.
공격적인 투자를 할 때 수익을 낼 수 있다는 관점과
남들에게 설명할 수 있을 만큼 확실한 논리를 가지고 지속 가능한 투자를 해야 한다는 관점
여러분의 재테크 대상은 투자인가요? 투기인가요?
<제4기 전경련 부동산/금융/자산관리 최고위과정>에서는 맞춤형 투자 콘텐츠를 알려드립니다.
간편신청 혹은 홈페이지 내 신청서 다운로드 후
사무국(cew@imi.or.kr)에 제출해주시면, 확인 후 안내 드리겠습니다.
많은 신청과 관심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 하단 배너를 클릭하시면 <제4기 전경련 부동산/금융/자산관리 최고위과정> 간편신청 링크로 이동합니다 ↓↓↓↓↓

↓↓↓↓↓ 하단 네임카드를 클릭하시면 <제4기 전경련 부동산/금융/자산관리 최고위과정>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