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ESG 경영전략 도입하라고 하는데..." 방법은? 『전경련 ESG 전략 아카데미』

코로나19 사태를 겪으면서 사회적 거리두기, 온택트(ontact) 등 우리 사회는 많은 변화를 겪고 있습니다.

친환경과 사회적 책임, 투명한 지배구조를 추구하는 ESG 경영은 한 때의 트렌드를 넘어 문화로 자리잡고 있는데요,

"ESG 경영전략 도입하라"의 지시에 각 산업들은 어떻게 변화하고 있을까요?

etc-image-0

의류업계·패션업계의 친환경 ESG 트렌드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환경적 가치를 내세운 제품들이 인기인 만큼, 패션 제품에서도 예외는 아닙니다.

일회용 플라스틱 접시, 컵, 빨대 등이 환경문제를 일으키고 있다는 사실은 많은 언론보도들을 통해 대부분 알고 있습니다.

하지만 옷과 신발이 환경에 악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사람은 많지 않은데요,

미국 환경 보호국(U.S.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에 따르면 2018년 미국에서 발생한 고체 폐기물 중

일회용 플라스틱 제품은 약 100만 톤인 반면, 버려진 옷과 신발은 1,300만 톤에 달한다고 합니다.

옷과 신발은 제조과정에서 많은 환경오염 물질을 배출할 뿐 아니라 폐기물도 환경에 부담을 주고 있습니다.

최근 이런 영향을 줄이기 위한 친환경 의류, 신발이 등장하고 있고 윤리적 소비를 지향하는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얻고 있습니다.

양모와 나무, 조개껍질 등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의류와 신발

etc-image-1

얼버즈(Allbirds)는 미세 플라스틱에 의한 오염을 줄이기 위해서 친환경 소재를 사용한 제품을 출시했습니다.

양모로 만든 운동화와 나무를 원료로 제작한 운동복입니다.

알버즈 CEO 팀 브라운은 "양모는 수분을 30% 흡수하기 때문에 운동화의 기능이 향상될 수 있다"며,

양모는 체온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이 있어 운동복 소재로 적합하다"고 밝혀 소비자들에게 천연소재가 주는

편안함을 브랜드 마케팅 메세지로 전달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 트렌드를 반영한 공유 서비스업

출처 : KOTRA 해외시장뉴스

친환경적인 경제 활동서비스가 대두되면서 생겨난 新용어 중 하나는 바로 구독경제와 공유경제입니다.

아래 다룰 내용 중 하나는 공유경제 서비스 기반 비즈니스모델을 잘 반영하여 만든 기업의 사례인데요,

공유경제는 Sharing Economy로 물품을 소유의 개념이 아닌 서로 대여해주고 차용해 쓰는 개념으로 인식해 경제활동을 하는 것입니다.

다회용 커피 및 도시락 용기 공유 서비스 리컵(Recup)

etc-image-2

리컵(Recup)은 경영학 전공 독일인 플로리안 파칼리와 지속가능경영을 공부한 스웨덴 출신 파비안 에커트가

2016년 뭔헨에서 진행한 일회용 컵 줄이기 프로젝트의 일환으로 시작되었습니다.

리컵은 다회용 컵 보증금 제도라고 할 수 있는데, 100% 재활용이 가능한 플라스틱으로 만들어진 이 리컵을

음료 테이크아웃시 1유로의 보증금을 내고 사용한 뒤 반납을 원할 때에는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리컵 파트너 카페 또는

가게를 검색 후 보증금 환불이 가능한 제도입니다.

이러한 소비 트렌드 개념은 독일인 소비자들의 열렬한 호응을 받게 되면서 리컵제도를 다양한 프랜차이즈 업체들과 함께

확대 계획을 가지고 있다고 합니다.


기업이나 비즈니스에 대한 투자의 지속 가능성과 사회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는 ESG에 대한 중요성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앞서 살펴보는 여러 산업 사례들을 살펴봐도, ESG의 바람의 영향이 얼마나 큰지 알 수 있습니다.

환경을 생각하는 소비자들이 많아지면서 기업의 입장에서는 조금 더 환경과 사회에 도움이 되는 제품을 만들고

이미지를 선포하는 노력이 절실할 수 밖에 없는데요,

이러한 ESG 경영전략을 진행하기 앞서 어디서부터 무엇을 생각해야되는지 모르겠는 실무자 분들을 위하여

전경련 국제경영원에서 [전경련 ESG 전략 아카데미]를 개설하였습니다.

[전경련 ESG 전략 아카데미]에서 지속 가능한 생산 기업의 모범 사례가 되어보세요^^

etc-image-3

본 카드뉴스를 누르시면,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교육기간

2021.10.28(목) ~ 2021.10.29(금)

13:00 ~ 17:00 (총 2회, 8시간)

☑ 교육대상

ESG팀, IR팀, CSR팀, 마케팅팀, 홍보팀, PR팀 임원 및 실무진

☑ 교육특징

1. 실무사 중심의 교육 커리큘럼

국내외 ESG 마케팅 트렌드를 한 눈에 파악 가능

2. 동이업종 참가자와 함께 교육 및 교류

타기업의 브랜딩&마케팅 전략 정보 공유 가능

3. 산업별, 분야별, PR경험이 풍부한 전문가로 구성된 우수한 강사진

☑ 교육내용

- ESG 커뮤니케이션 개념과 전략

- ESG 마케팅 트렌드

- 국내외 ESG 사례 등

→ 소비자 공감을 얻을 수 있는 ESG 마케팅 요소를 모두 담았습니다!

→ MZ세대를 사로잡을 수 있는, 소비자가 기대하는 ESG 활동!

지금 <전경련 ESG 전략 아카데미>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게시물 하단 배너를 클릭하시면, 간편신청 하실 수 있습니다.


↓↓↓↓ 하단 배너를 클릭하시면 <전경련 ESG 전략 아카데미> 간편신청 링크로 이동합니다. ↓↓↓↓

etc-image-4

↓↓↓↓ 하단 배너를 클릭하시면 <전경련 ESG 전략 아카데미>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etc-image-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