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美 테이퍼링 발표 후 국내 증시 전망은? 불안하신가요? <제4기 전경련 부동산/금융/자산관리 최고위과정> ※선착순 마감

환율을 알면 돈의 흐름이 보인다

환율은 '동학개미'에게도, '서학개미'에게도 중요한 정보입니다.
국내 투자시장은 환율에 따라 외국인 투자자의 자본이 밀물처럼 들어오거나 썰물처럼 빠지면서 주가가 출렁거리기도 합니다.
그래서 돈의 흐름엔 환율이 빠지지 않고 등장하며, 이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달러의 수요와 공급 분석이 필수적으로 요구됩니다.

과거에 환율은 단순히 나라 간 수출, 수입을 하는 경우에만 활용되었지만,
현재는 물가, 채무 상승과 하락에도 커다란 요소로 작용합니다.

테이퍼링 이슈, 주식시장에 충격 변수?

테이퍼링
Taper는 '폭이 점점 가늘어지다'는 의미로, 마라톤이나 수영 선수 등 지구력이 필요한 운동선수들이
중요한 시합을 앞두고 훈련량을 점차 줄여나가는 과정을 일컬어 테이퍼링이라 한다.

금융 정책으로는 양적완화 정책 규모을 점진적으로 축소하는 것을 말한다.
*양적완화: 중앙은행이 경기부양을 위해 국채를 매입하거나 통화를 시장에 푸는 정책


2019년 말부터 전 세계 성장률은 코로나19로 인해 크게 둔화되었습니다.
미국 정부는 이처럼 위축된 경제를 극복하고자 기준금리 인하 및 양적완화 정책을 동원해 경제를 일으켜세우고자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 덕분일까요?
최근 코로나 백신 공급에도 속도가 붙고, 확산세가 점차 사그라들면서 경기가 다시 살아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실제로 미국 주가는 꾸준히 오르는 추세이며, 인플레이션의 조짐이 보이고 있습니다.

글로벌 투자은행(IB) 등 시장 전문가들에 따르면,
오는 11월 혹은 12월에 공식적으로 테이퍼링을 발표하고, 22년 초부터 자산매입 규모 축소에 나설 것이라고 하는데요.

많은 분들이 "테이퍼링" 하면 경제를 축소시키고자 하는 연준의 움직임이라고 생각하시지만,
나쁜 상황에서 벗어나는 '출구전략'의 일종으로 세계 경기의 회복을 반영한다는 점에서 긍정적으로 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상대적으로 달러에 취약한 신흥경제국가에서는 화폐 가치와 증시가 급락하는 사태가 일어나고,
일부 국가에서는 외환위기가 일어날 가능성도 높아집니다.


결론적으로 테이퍼링이 실시되면 원자재 가격과 물가가 상대적으로 낮아져 물가가 안정된다는 장점도 있지만,
미국 제품의 대외 가격 경쟁력이 감소하여 수출에 악영향을 미치기도 합니다.

오늘은 언론에서 끊임없이 화제가 되고 있는 양적완화와 테이퍼링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양적완화와 테이퍼링, 세계 경제에 큰 영향력을 주는 두 정책은 많은 전문가들의 논쟁거리가 되고 있는데요.

무엇보다 중요한 것은 테이퍼링이 실시된 후 어떤 경제 변화가 찾아올 것인지 예측하는 것과
그에 따른 변화에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일 것입니다.

알고 투자하는 것과 모르고 투자하는 것은 다릅니다.
성공적인 투자의 기본은 돈의 흐름, 즉 세계 경제 흐름을 읽는 것입니다.

<제4기 전경련 부동산/금융/자산관리 최고위과정>에서는 돈 버는 방법을 모두 담았습니다.
각 분야 최고의 전문가들로 구성된 연사진과 다채로운 커리큘럼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부동산, 주식, 달러, 환율, 채권, 공매/경매 등 궁금하셨던 경제, 시사 지식을 배워가실 수 있습니다!

제4기 전경련 부동산/금융/자산관리 최고위과정

교육기간 2021.10.14 ~ 2022.01.20
매주 목요일 16:00 ~ 19:00
교육장소 여의도 전경련회관 전용강의장
신청방법
① 간편신청 혹은 신청서 다운로드 후 사무국(cew@imi.or.kr)에 제출
*사무국에 확인 후 안내 드리겠습니다.
② 사무국으로부터 입학안내문 받은 후 교육비 결제 (계산서 발행 혹은 카드결제 가능)
*사업자등록증 사무국 제출
문의사항 TEL. 02-3771-0301
E-mail. cew@imi.or.kr


↓↓↓↓ 지금 하단 게시물 배너를 클릭하시면 간편신청 링크로 이동합니다. ↓↓↓↓

↓↓↓↓ 지금 하단 네임카드를 클릭하시면 <전경련 부동산/금융/자산관리 최고위과정> 홈페이지로 이동합니다. ↓↓↓↓

** 홈페이지로 이동하시면 상세 내용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홈페이지 내 공문 및 신청서 다운로드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