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업들은 인공지능을 어떻게 적용하고 있을까?/ 솔트룩스 대표이사 이경일

[제81기 전경련 최고경영자과정 3주차 강연요약]
- 일 시 : 2020.5.26.(화) 18:30~19:50
- 강의명 : 인공지능의 발전과 / 글로벌 디지털 트렌스포메이션
- 연 사 : 이경일 솔트룩스 대표이사

■ 4차 산업혁명의 중심에 있는 인공지능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
인공지능이 무엇인지, 어떻게 변화해왔는지, 내가 하고 있는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지난 20년간 컴퓨터와 인터넷을 통해 모든 것이 디지털화(Digital Transformation)되며 사회, 경제적으로 큰 변화가 일어난 것처럼, 앞으로의 20년은 모든 것의 인공지능화(AI Transformation)가 진행될 것입니다. “인공지능” 어디서 갑자기 튀어나와서 시작된 것이 아닙니다. 인공지능이라는 단어는 1950년부터 사용되기 시작했고, 그 개념은 고대 그리스 아리스토텔레스의 철학에서부터 발달 되었습니다. 인공지능은 여러 변곡점을 거치면서 발전하기 시작하였는데, 특히 최근 들어 하드웨어(GPU, 컴퓨터 인프라)의 발전이 가속화되고, 클라우드 시스템으로 여러 사람이 연결되면서 더욱더 빠르게 발전하였습니다. 또한 기존에는 무심코 지나치던 상황도 카메라나 센서를 통해 데이터로 수집하여 분석할 수 있게 되었고, 이는 딥러닝을 통한 인공지능이 학습할 수 있는 기반이 되었습니다.

■ 인공지능은 쉽게 접근하기 어려운 분야에다 터미네이터, 아이언맨과 같은 영화를 보면서 많은 선입견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특히 인공지능이 발전하면서 자동화가 하드웨어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까지 침투하고 인류의 일자리를 기계가 대신 할 거라 생각 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부분은 잘못된 생각입니다.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기술이 발전하면서 기계가 인류의 근육노동 부분을 대처하였지만, 이를 통해서 일자리를 빼앗고 취업률이 상승하거나 하지 않았습니다. 통계표를 보시면 과거에서부터 현재까지 취업률은 일정하고 GDP는 계속해서 증가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데이터가 있는 미국을 보면 지난 140년간 1인당 GDP가 8배 성장했는데, 이 기간 실질 실업률은 대공황 때를 제외하고 비슷했습니다. 또한 또 다른 통계인 근무 노동시간을 보시면 주60시간에서 현재 주 36시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기술이 발전하면서 단순노동은 점점 사라지고 질적인 노동이 이를 대처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처음에 자동차가 나왔을 때 사람들은 이를 두려워하고 규제하였으며, 일정속도 이상 달리지 못하게 하였고 자동차 앞에 사람이 걸어가면서 인솔하도록 하였습니다. 지금은 어떻습니까? 기술의 발전은 생활의 질을 높이고, 단수 노동을 줄이면서 새로운 직업을 창출하였습니다. 인공지능도 마찬가지입니다. 기계가 인류의 근육노동을 대처했다면, 인공지능은 인류의 지적노동을 대신할 것입니다. 오류가 있는지 체크하고, 문서를 번역하고, 데이터를 숫자화해서 입력하는 등의 단순한 지적노동을 인공지능이 보조해주는 역할을 할 것입니다. 여러분께서 생각하시는 스스로 생각해서 의사 결정하는 영화 속의 로봇들은 앞으로 한 300년 후에나 가능하지 않을까 싶습니다.

■ 인공지능은 사람과 확실하게 다릅니다. 인공지능은 스스로 학습할 수 없습니다. 사람이 방대한 양의 데이터를 직접 입력해주고 A와 B 값을 넣어주어야 이를 학습하고 A와 B를 구분 할 수 있게 되는 것입니다. 인공지능이 학습하는 프로세스는 데이터수집 및 구축-> 저장관리 및 통합-> 정제 및 변환->학습 및 분석 준비->학습 및 분석 최적화->품질평가 및 검증의 단계를 거치게 됩니다. 하지만 사람은 단 두장의 사진을 가지고도 학습을 할 수 있습니다. 인간은 화학과 전기신호로 공부를 하고 스몰 데이터로도 학습과 의사결정을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인공지능은 빅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분과 수학을 통해 학습하고 배우게 됩니다. 또한 인공지능은 숫자로 학습하기에 사람이 느끼는 감정, 공감과 같은 부분을 이해 할 수 없습니다. 우리한테는 너무나 당연한 것을 기계한테는 가르쳐주기 어려운 부분이 있습니다.

■ 인공지능에 가장 많이 투자하고 있는 나라는 미국으로 미국의 “구글” 한 회사가 투자하는 금액이 대한민국 전체가 투자하는 금액보다 크다고 합니다. 컴퓨터 하드웨어, 클라우드, 시스템구축, R&D등 다양한 분야에 막대한 양을 투자하고 있습니다. 후발주자로서 한국의 인공지능 사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고품질의 데이터 확보가 중요합니다. 한국은 5G를 기반으로 현재 작동하고 있는 여러 기계에 카메라와 같은 센서를 부착하여 데이터를 확보하기가 더욱 수월합니다. 반도체, 컴퓨터, 자동차와 같은 산업분야 뿐만 아니라 의료, 의류 등 모든 산업 분야에서 데이터를 확보하고 에러를 찾아서 수정하거나 새로운 시스템을 구축하기가 더욱 편리해졌습니다. 예전에는 일일이 확인하고 체크해야하는 X레이 사진의 암 진단 같은 것도 이제는 찍고나서 바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이렇게 인공지능이 발전하면서 지적노동 부분을 많이 보조해줄 것입니다.

■ 하지만 가장 중요한건은 우리기업이 가지고 있는 핵심 본질을 파악하고 문제점을 찾는것입니다. 예를 들어 기술이 발전하면서 예전의 오래된 쥐 덫을 대채하기 위해 새로운 기계 쥐덫을 개발하였습니다. 훨씬 더 효율적이고 깨끗하게 쥐를 해결 할 수 있는 기계였지만, 사람들은 쥐약을 통해서 1/100로 저렴한 금액으로 쥐를 해결하였습니다. 새로운 기술도 중요하지만 가장 중요한 것은 우리 회사의 본질을 파악하고 고객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확인하는 것입니다. 새로운 기술과 시스템은 문제를 해결하고 효과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한 것이지 각 기업의 본질과 고객이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체크하는 것은 여기계신 경영자가 해야할 역할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