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전경련 국제경영원 사무국입니다.
많은 기업들과 소비자들이 ESG에 주목하고 있는데요.
사실 친환경이니, 기업의 사회적 책임이니 이런 개념이 새로운 것도 아닌데,
요즘 들어 부쩍 ESG 경영에 국내외 기업들이 모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ESG에서 'E'는 '환경(Environment), 'S'는 '사회(Social) `, 'G'는 지배구조(Governance)를 의미합니다.
즉 ESG는 투자의사 결정 시 '사회책임투자(SRI)'나 '지속가능투자' 관점에서 분석하는 비재무적 요소들을 말합니다.
ESG와 함께 사용되는 다양한 용어들이 있는데요.
RE100, ETF, SRI, MSCI, 2050 탄소중립, P4G, 온실가스 등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글로벌 기업들이 너도 나도 ESG 경영을 선포하며 환경과 경영을 동시에 이루어내겠다는 목표를 다지고 있습니다.
ESG 용어의 모든 것
전경련 국제경영원에서 열심히 자료를 수집하고 공부한 핵심 노트!
지금 바로 공개합니다.
RE100
[Renewable Energy 100%]
2050년까지 필요한 전력의 100%를 태양광, 풍력 등 재생에너지로만 충당하겠다는 기업들의 자발적인 약속입니다.
RE100 가입 기업은 2021년 1월 말 기준으로 미국(51개), 유럽(77개)에 이어, 아시아 기업(24개) 등 총 284 곳에 이릅니다.
2018년 기준으로 애플, 구글 등 30개 기업이 이미 100% 목표를 달성했고, 95% 이상 달성한 기업도 45개입니다.
한국에선 2020년초까지만 해도 기업들의 RE100 참여 기업이 전무했습니다.
제조업의 에너지 사용량 중 전력에 대한 의존도가 48%나 돼 기업이 부담해야 할 에너지 비용이 막대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RE100의 세계적 확산에 따라 2020년 말부터
LG화학, SK하이닉스, SK텔레콤, 한화큐셀 등이 잇따라 RE100 참여를 선언하고 있습니다.
출처: 한경 경제용어사전
ETF
[Exchange Traded Fund]
말그대로 인덱스펀드를 거래소에 상장시켜 투자자들이 주식처럼 편리하게 거래할 수 있도록 만든 상품입니다.
*인덱스펀드: 일반 주식형 펀드와 달리 KOSPI 200과 같은 시장 지수의 수익률을 그대로 쫓아가도록 구성한 펀드.
투자자들이 개별 주식을 고르는데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되는 펀드투자의 장점과,
언제든지 시장에서 원하는 가격에 매매할 수 있는 주식투자의 장점을 모두 가지고 있는 상품으로
인덱스펀드와 주식을 합쳐놓은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원글 출처: 네이버 시사경제용어사전
SRI
[Socially Responsible Investment]
자본시장에서 투자자들의 투자원칙에 가치와 윤리 신념을 도입해 실행하는 방식입니다.
사회책임투자의 영어 머리글자를 딴 SRI펀드가 선진 자본시장에는 보편화되어 있습니다.
미국에선 우리 돈으로 2600조원에 200여 개의 펀드가 운용되고 있을 정도입니다.
원글 출처: 두산백과
MSCI
[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Index]
미국의 모건스탠리캐피털 인터내셔널사가 작성, 발표하는 세계적인 주가지수로,
글로벌펀드의 투자기준이 되는 지표이자 최초의 국제 벤치마크입니다.
특히 미국계 펀드의 95% 정도가 이 지수를 기준으로 삼을 만큼 펀드 운용에 주요 기준으로 사용되고 있습니다.
국내 ESG 지수를 산출하는 기관으로는 한국거래소(KRX)와 MSCI(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 WISE(와이즈에프엔) 입니다.
원글출처: 시사상식사전
UN PRI
[United Nations Principles for Responsible Investment]
PRI는 코피 아난 UN 사무총장의 주도하에 유엔환경계획/금융이니셔티브(UNEP/FI)와 선진 금융기관과
다양한 전문가그룹이 4차례의 대규모 미팅을 통해 제정된 세계 최초의 사회책임투자원칙입니다.
네덜란드공무원연금(ABP), 캘리포니아공무원연금(CallPERS), 뉴욕공무원연금(NYCERS), 영국대학교원연금(USS),
미쯔비시UFJ신탁은행, 노르웨이 정부연금, 아일랜드 정부연금, 태국 정부연금, BT Pension Scheme 등
각종 연기금과 기업연금 등 30여 개 기관투자가들이 이 원칙에 서명하였습니다.
블랙록
[BlackRock]
세계 최대 자산운용사이며, 지난해 1월 블랙록의 최고경영자(CEO) 래리핑크는
"앞으로 모든 투자, 인수 결정에 ESG를 검토 기준으로 삼겠다"며
"ESG 투자를 새로운 투자 패러다임", "ESG 성과가 나쁜 기업에 투자하지 않겠다"고 선언했습니다.
또 "기후변화가 자본의 재배치를 초래할 것이니 리스크에 대비해야 한다"고 언급하며
2020년 7월, 블랙록은 그간 면밀히 조사해 온 244개 기업 중
엑손모빌, 볼보 등 기후 위기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53개 기업에 대해 주주총회에서 이사 선임 반대투표를 던지는 등
적극적인 행동을 통해 이 선언이 말뿐이 아님을 보여줬습니다.
2050 탄소중립
탄소중립이란 인가의 활동에 의한 온실가스 배출을 최대한 줄이고,
남은 온실가스는 흡수(산림 등), 제거해서 실질적인 배출량이 '0'이 되는 개념을 말합니다.
우리나라 정부는 2020년 10월에 '2050 탄소중립 계획'을 선언하였고,
지난 5월에는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2050 탄소중립 위원회'가 구성되었습니다.
그런데 왜 하필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이루어내야 하는 걸까요?
그 이유는 바로 기후변화 때문입니다.
지구의 온도가 2도 이상 상승할 경우, 폭염, 한파 등 보통의 인간이 감당할 수 없는 자연재해가 발생한다고 합니다.
반면 상승 온도를 1.5도로 제한할 경우 생물다양성, 건강, 생계, 식량 안보, 인간 안보 및 경제 성장에 대한 위험이 대폭 감소합니다.
그리고 현재의 상황에서 지구 온도 상승을 1.5도 이내로 억제하기 위해서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여야 한다고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간 협의체)는 제시했습니다.
미닝아웃
[Meaning Out]
소비자 운동의 일종으로서, 정치적·사회적 신념과 같은 자기만의 의미를 소비행위를 통해 적극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에서 해시태그 기능을 사용하여 자신의 관심사를 공유하여 사회적 관심을 이끌어 내거나,
옷이나 가방 등에 메시지가 담긴 문구나 문양을 넣는 '슬로건 패션' 등의 여러 형태로 나타납니다.
P4G
[Partnering for Green Growth and the Global Goals 2030]
정부 기관과 기업, 시민사회 등 민간부문이 파트너로 참여해 기후 변화에 대응하고
지속 가능한 발전 목표를 달성하려는 글로벌 협의체입니다.
P4G에는 우리나라를 포함한 대륙별 12개 중견국가들과 국제기구, 기업들이 참여하고 있는데
이들 회원국은 2년마다 정상회의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 ESG, CSV, CSR의 차이점이 궁금하다면 하단 링크를 클릭하세요! ↓↓↓↓
https://blog.naver.com/iloveimier/222456857899
[전경련 ESG 전문가 자격증 개설] ESG, CSV, CSR 아직도 헷갈린다면? <전경련 ESG전문가 자격증> 'ESG'의 A to Z
안녕하세요 전경련 국제경영원 사무국입니다. 오늘 소개드릴 교육과정은 <전경련 ESG 전문가 자격증&...
blog.naver.com
전경련 ESG 평가 등급 높이기 위한 온라인 교육
기업의 장기성장을 위한 새로운 성장규칙
1. 교육대상
▶ESG 관련 업무를 진행하고자 하는 담당자
ESG팀, IR팀, CSR팀, 홍보팀, 마케팅팀, 경영지원팀, 전략기획팀, HR팀, 윤리경영팀, 기업문화팀, HRD팀, 법무팀, 사업기획팀, 총무팀 등
▶취업 혹은 이직을 준비하는 분들
기업에게 필수 항목인 ESG, 이제는 ESG를 미리 관심을 갖고 고민하는 인재를 원합니다.
미리 ESG 경영을 배우고 본인의 경쟁력을 강화시키세요!
2. 수업 커리큘럼
Environmental | ||
[기후변화와 탄소중립] 탄소중립, 배출권 거래, 탄소정보 공개 [ESG와 친환경 경영] 오염물질, 화학물질 등 배출저감, 친환경 활동 [자원순환과 에너지] 탈플라스틱 재활용 에너지 효율, 재생에너지, RE100 |
||
Social | ||
[인권 경영 총론] 도입 기준, 주요 사례, 산업 분야별 주요 이슈 [인권 경영 각론 Part.1] 노사관계, 주요 근로 관계 및 성차별 이슈 등 [인권 경영 각론 Part.2] 산업 안전, 개인정보 등 |
||
Governance | ||
[지배구조] 이사회의 역할과 책임, 주주 및 이해관계자와의 소통 [준법경영 각론] 부패방지 및 공정거래 등 |
2021 P4G Summit Seoul
2021 P4G: 녹색성장과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 - 서울 정상 회의
P4G는 기업, 시민사회 등이 참여하는 민관 파트너십을 통해
녹색성장, 지속가능한 발전, 파리기후변화 협정과 같은 지구적 목표 달성을 가속하기 위한 국제 연대로서
한국, 덴마크, 베트남 등 대륙별로 대표성 있게 구성된 12개국이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회원기구로는 세계자원연구소, 세계지식포럼, 유엔 글로벌 콤팩트,
글로벌녹색성장기구, 국제금융공사, 도시기후리더십그룹 등이 참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많은 글로벌 기업들이 민간 파트너로 참여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SK텔레콤을 비롯해서 토요타, 다농, 델, GM, 네슬레, 코카콜라 등등이 있습니다.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에서 발표된 '서울선언문' 당사자들은 다음 내용들에 합의했습니다.
기후위기를 환경문제를 넘어서 경제, 사회, 안보, 인권과 연관된 과제들에 영향을 미치는 시급한 국제적 위협으로 간주 | ||
코로나19와의 싸움이 국제적 기후위기 대응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하였으며, 코로나19는 미래지향적 전략인 녹색회복을 통해 극복되어야 할 것임 |
||
기후변화, 사막화와 토양의 황폐화, 생물다양성 손실을 동시대의 가장 큰 세 가지 환경문제로 인식 | ||
자연 기반 해결책(NBS)을 포함한 생태계 기반 접근방식과 같이 공동의 이익을 최대화하고 손실은 최소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법을 권장 |
오늘의 우리 행동이 내일의 우리 삶을 규정짓는다는 인식하에,
지구의 미래를 지키기 위한 국제사회의 약속을 지켜주세요.
ESG는 요즘 기업이 갖추어야 할 기본 덕목입니다.
더 늦기 전에 지구를 위한 행동, 지금 바로 실천해주세요!
↓↓↓↓↓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전경련 ESG 전문가 자격증> 간편신청 링크로 이동합니다 ↓↓↓↓↓
↓↓↓↓↓ 아래 이미지를 클릭하시면 <전경련 ESG 평가 등급 높이기 위한 온라인 교육> 간편신청 링크로 이동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