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SG의 시작: 컴플라이언스 모든 기업은 지속가능한 개발에 대한 책임과 사회적·환경적 책임을 지녀야 합니다. 대표적인 용어로는 아래와 같은 세 가지가 있습니다. 1.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2. SDG(Sustainable Development Goal) 3. ESG(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이 중 ESG는 新자본주의, 새로운 경영패러다임으로 자리 잡았습니다. ESG경영이란 기업의 재무적인 성과 뿐만 아니라 비재무제표를 함께 공시하는 것을 뜻합니다. 실제 EU는 2024년부터 기업은 대상으로 환경·인권보호 실시 의무화를 추진할 예정이며, 한국도 2025년부터 ESG정보 공시를 단계적으로 의무화할 방침에 있습니다. ..
준법경영 최우선으로 하는 삼성전자 삼성전자가 올해 보고서에는 더 강화된 준법 경영을 앞세웠다. 삼성전자는 지난 2008년부터 연 1회 지속가능경영보고서를 발간해 왔고, 올해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는 2020년 경영 활동 성과를 담아 발표하였습니다. 아래와 같이 삼성전자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2021년을 살펴보면, 강화된 준법경영의 주요 내용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준법지원인의 독립성과 권한 강화 삼성전자는 2020년 기전 법무실 산하의 컴플라이언스팀을 CEO 직속 조직으로 격상시키고 준법통제기준을 개정해 준법지원인의 독립성과 권한을 강화했습니다. 2. 제보 시스템 강화 2020년에는 기존 운영하던 CPMS 내 사내 법 위반 제보 기능 외에도 외부 이해관계자가 법 위반에 대해 익명으로 제보하 수..
2021년 국제투명성기구가 발표한 2020 국가별 부패인식지수(CPI)에서 대한민국은 61점으로 조사대상 180개국 가운데 33위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2019년 59점보다 2점 높고 순위는 6단계 올라가면서 역대 최고 점수와 최고 순위를 기록하였는데요. *국가별 부패인식지수는 국가별 공공부문 부패수준을 평가하는 지표로 매년 기업인을 대상으로 하는 설문조사 결과와 국제 평가 전문가들의 분석으로 반영됩니다. 국민권익위원회는 이번 CPI 평가 결과에 안주하지 않고 당초 목표한 세계 20위권 청렴 선진국 진입을 위해 반부패 컨트롤기구로서 관계부처는 물론 국민들과 함께 반배푸 공정개혁의 차질 없는 추진을 통한 청렴하고 공정한 사회문화 확산을 위해 더 최선의 노력을 기울이겠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올해 ..